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는 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약자로, 사람들의 성격 유형을 분류하는 도구입니다. 이는 Carl Jung의 심리학 이론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Katherine Cook Briggs와 Isabel Briggs Myers가 발전시켰습니다.MBTI는 성격 유형을 분류하는 도구로, 개개인이 가지는 인지적, 감성적, 인간관계적, 업무적 특성들을 설명합니다.

MBTI 네 가지 유형
Extraversion(외향성) vs. Introversion(내향성)
Sensing(감각) vs. Intuition(직관)
Thinking(사고) vs. Feeling(감정)
Judging(판단) vs. Perceiving(인식)
네 가지 유형으로 만든 총 16가지의 성격 유형
ISTJ: Introverted-Sensing-Thinking-Judging
ISFJ: Introverted-Sensing-Feeling-Judging
INFJ: Introverted-Intuitive-Feeling-Judging
INTJ: Introverted-Intuitive-Thinking-Judging
ISTP: Introverted-Sensing-Thinking-Perceiving
ISFP: Introverted-Sensing-Feeling-Perceiving
INFP: Introverted-Intuitive-Feeling-Perceiving
INTP: Introverted-Intuitive-Thinking-Perceiving
ESTP: Extraverted-Sensing-Thinking-Perceiving
ESFP: Extraverted-Sensing-Feeling-Perceiving
ENFP: Extraverted-Intuitive-Feeling-Perceiving
ENTP: Extraverted-Intuitive-Thinking-Perceiving
ESTJ: Extraverted-Sensing-Thinking-Judging
ESFJ: Extraverted-Sensing-Feeling-Judging
ENFJ: Extraverted-Intuitive-Feeling-Judging
ENTJ: Extraverted-Intuitive-Thinking-Judging

MBTI는 각각의 유형이 가지는 특성을 설명하고, 사람들이 어떤 유형에 속하는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자신이 가지는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더 나은 직업, 대인관계, 성공적인 삶을 위한 전략 등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각각의 MBTI 유형은 다른 유형과 비교해 선호하는 방식과 행동, 인식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Introverted(내향적) 성격은 Extraverted(외향적) 성격과는 다르게 사색을 좋아하고, 자신만의 공간이 필요합니다. Sensing(감각적) 성격은 Intuition(직관적) 성격과는 다르게 보다 구체적이고 경험적인 정보를 선호합니다. Thinking(사고적) 성격은 Feeling(감정적) 성격과는 다르게 문제 해결에 분석적인 관점을 취합니다. Judging(판단적) 성격은 Perceiving(인식적) 성격과는 다르게 계획적으로 행동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일관된 방식으로 작업합니다.

MBTI는 개인의 성격 유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를 바탕으로 업무, 교육, 대인관계 등에서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발전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MBTI는 팀 빌딩, 커뮤니케이션, 리더십 등 조직 내의 인간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MBTI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성격 유형 분류 체계는 아니며, 개인의 성격 유형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완벽하게 반영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유형 간에 절대적인 선호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경험과 문맥에 따라 성격 유형이 유연하게 변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BTI 결과를 완벽하게 믿지 않아도 되며, 개인의 경험과 상황을 고려하며, 다양한 성격 유형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